금강경金剛經 사상四相
해산 김 승규
겨울 지나 봄이오니 아상我相따라 싹티우며
꽃바람 불어 올 때 인상人相으로 담을 쌓고
중생상衆生相 불안한마음을 수자상壽者相에 담은 삼독
저 하늘 구름보고 꿈꾸는 게 사람이면
나는야 구름 안은 바람 보며 길을 가니
똑같은 하늘을 보지만 느낌은 천양지차天壤之差
눈뜨고 살아가면 처처에 꽃피는데
인드라망 한 코에서 벗어나지 못하고서
제절로 변하는 계절 끄달리며 살아간다.
삼독三毒:사람의 착한 마음에 해독(害毒)을 끼치는 세 가지
번뇌(煩惱), 곧 탐(貪), 진(瞋), 치(癡)
금강경의 사상四相:
아상, 인상, 중생상, 수자상으로,
금강경의 골수骨髓이며, 4상이 있으면 진정한 보살菩薩이 아니라고 함
사상四相의 해석
아상: 내가 내다 하는 우월심
인상: 너와 나는 남이다 하는 차별심
중생상: 중생이기 때문에 할 수 없다는 한계심
수자상: 죽을 때 까지 부족함이 없이 살고 싶다는 집착심
골수(骨髓)[명사]
1. <의학> 뼈의 중심부인 골수 공간(骨髓空間)에
가득 차 있는 결체질(結締質)의 물질
2. 마음속 깊은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3. 요점이나 골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.
보살菩薩:
보살2 (菩薩) 발음 듣기
[명사] <불교>
1. 부처가 전생에서 수행하던 시절, 수기를 받은 이후의 몸.
2. 위로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 중생을 제도하는, 대승 불교의 이상적 수행자상.
3. [같은 말] 보살승1(菩薩乘)(삼승(三乘)의 하나).
인드라망(불교 용어)
우주만물이 '한 몸·한 생명'이라는 인드라망 생명공동체의 기본이념을 바탕으로
인간과 자연의 조화로운 삶이 유지되고 인간과 인간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것으로,
동체대비사상의 근간이 됨
동체대비 同體大悲: 만물이 나와 한 몸이라는 인식에서 나오는 무한한 자비심.
자비심: [명사] <불교> 중생衆生을 사랑하고 가엾게 여기는 마음.
중생 衆生:[명사] 1. 많은 사람. 2. <불교> 모든 살아 있는 무리 3.깨달음을 얻지 못한 모든 사람
제절로: 1.자연의 법칙에 따라 무위자연無爲自然 하는 것 2.누구의 영향도 받지 않고 스스로 되어감
무위자연:[명사] 사람의 힘을 더하지 않은 그대로의 자연. 또는 그런 이상적인 경지.
천양지차天壤之差: [명사] 하늘과 땅 사이와 같이 엄청난 차이.
'명언*작품*명언 > [명시 명언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스크랩] 누구든 떠나갈때는 (0) | 2014.05.15 |
---|---|
[스크랩] 성광교회 전도傳導 (0) | 2013.11.28 |
[스크랩] 나에게 이런사람 이런친구가 필요하다 (0) | 2013.08.20 |
[스크랩] ‘박정희 마니아’ 김종신 전 청와대 비서관의 박정희 이야기 (0) | 2012.01.02 |
명언 (0) | 2011.10.29 |